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선 자바XML을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은 패키지들과 자바 파일 그리고 XML파일이 생성된다.

기본 자바와는 다르게 너무나도 많은 것들이 생성되어 혼란을 일으킬 수도 있으나

각각의 역할을 생각하면서 차분하게 짚어 본다면 쉽게 눈에 익을 것이다.

 

 

 

4개의 기본 구조

 

 

패키지 표시 화면에서 보라색으로 강조 표시를 해놓은 파일이 주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위의 그림은 그 구성 요소의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낸 그림이다.

 

1. Java File

 이것이 메인 소스이며 여기에 코드를 작성하게 되있다. 필요한 만큼 소스파일을 추가할 수 있다. 이 공간 만큼은 자바라고 생각해도 좋다.

 

 여기서 메인 클래스는 화면에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Activity라는 클래스를 상속받는다.

그리고 onCreate 메서드를 재정의해서 기본적인 초기화를 해주게 된다.

다음으로 setContentView를 이용하여 메서드를 호출하여 Activity를 채우게 된다.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XML파일에 레이아웃을 기술하고 그 ID를 setContentView로 전달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뷰 객체를 생성하여 setContentView로 전달하는 방법이다.

 

첫째 방법은 관리하기가 용이하고 복잡한 모양을 만들기 수월하다.

둘째 방법은 실행 도중에 동적으로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으나 관리하기가 어렵다.

 

 

2. R.java

 코드나 XML파일에서 참조하는 ID가 이 파일에서 정의된다.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일이기 때문에 수정하지 말라는 경고가 써있다. 수정하지 말자.

 

3. main.xml

 레이아웃을 설정한다.

 

4. strings.xml

 화면에 들어가는 문자들을 설정한다.

Posted by 모과이IT
,